Review & Tip/IT

삼성 무풍에어컨 스탠드 셀프 청소 후기

라촐 2023. 4. 29. 02:17
반응형

지난 포스트에서 삼성 무풍에어컨 벽걸이형 셀프 청소 후기를 이번에는 스탠드형의 셀프 청소 후기 및 방법을 공유드립니다. 에어컨에서 식초냄새가 나기 시작하면 꼭 청소를 해야 합니다. 벽걸이형 청소 방법이 궁금하신 분은 포스트 제일 하단의 링크 글을 보시기 바랍니다. 조금 더 복잡해 보이지만 지난번 벽걸이형을 한번 셀프 청소 해보고 나니 스탠드형은 사이즈도 크고 해서 다소 쉽고 빠르게 진행한 것 같습니다. 스탠드형 모델명은 AF18M7975BZ 17년형입니다.

 

무풍 스탠드 셀프 세척방법 썸네일

삼성 무풍에어컨 스텐드

 

준비물

  • 십자 일자 겸용 드라이버
  • 청소용 솔
  • 곰팡이 제거 스프레이
  • 중성세제

 

 

홈스타 뿌리는 곰팡이 싹 500+500 500ml, 2개

COUPANG

www.coupang.com

 

분해순서

  1. 상단 커버 분해
  2. 하단 커버 분해
  3. 전면 커버 분해
  4. 송풍 모터 팬 모듈 분해
  5. 전면 커버 송풍 도어 그릴 분해
  6. 에어컨 후면 필터 분해
  7. 청소, 세척 및 재조립

 

상단 커버 분해

 

 

먼저 상단에 나사 4개를 풀어줍니다. 그 후 상단 커버는 아래 사진과 같이 전면 커버 안쪽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그래서 탈거 할때는 뒤쪽 손잡이를 살짝 들어서 뒤로 빼주는 느낌으로 빼주면 커버가 두 번째 사진과 같이 분해되고 안쪽에 기판이 보입니다. 안쪽 기판에 4개의 케이블은 전면 패널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커넥터를 분리해 줘야 다음에 전면 커버를 분해할 때 바로 분해가 됩니다. 

 

기판이 고정되어있는 상단 내측 커버를 빼주면 상단 분해는 완료됩니다. 4개의 케이블은 이후 전면 커버를 분해할 때 사진과 같이 걸쳐두면 걸려서 걸리적거리므로 케이블은 사진과 같이 걸쳐 두시지 마시고 안쪽으로 케이블을 넣어 두시면 바로 분해 가능합니다.

상단 커버 분해

 

하단커버 분해

 

 

외부 하단 커버는 대부분 많이 분리 하실겁니다. 리모컨이 내장되기 때문입니다. 화살표 두 부분을 양손으로 잡고 당기면 분리됩니다. 내측 커버는 두 번째 사진의 나사 4개를 풀고 동일하게 화살표 부분을 잡고 당기면 커버가 분리됩니다. 다음은 기판 커버를 분리합니다. 우측에 1개 좌측하단에 2개 총 3개의 나사를 풀면 커버가 분리됩니다. 

 

커버 안쪽에는 PCB 기판이 있습니다. 상단 커버에 연결된 케이블이 기판으로 연결되어있는데 상단 커버 분리를 위해 마지막 사진에서 기판에 연결된 커넥터 2개를 분리해 줍니다. 모델별로 조금씩 차이는 있을 것 같지만 상단 커버에서 내려오는 케이블에 연결된 케이블의 커넥터를 분리해 주면 됩니다. 

 

기판 안쪽에 케이블 커넥터까지 분리해주면 하단 커버의 분해는 완료됩니다.

 

하단 커버 분해

전면 커버 분해

 

전면커버 분해를 위해 아래 사진과 같이 전면 커버 하단의 나사 2개를 풀어 줍니다. 에어컨 하단을 발로 밟고 있는 상태로 전면 커버를 나사를 푼 아래 전체를 잡은 채로 들어 올리면 전면 커버가 분해됩니다. 전면 커버가 분해된 사진의 두 번째 사진으로 에어컨 본체에는 송풍 모터 부분이 달려 있고, 분해된 세 번째 사진에는 송풍도어가 달려 있는 전면 커버입니다.

 

전면 커버 분해

 

송풍 모터 팬 모듈 분해

 

 

전면 커버 분해 후 에어컨 본체 쪽에 장착되어 있는 송풍 모터와 팬 모듈을 분해합니다. 1번 나사 2개와 2번 나사 2개를 풀어 줍니다. 2번 나사를 풀고 나면 흰색 모터 보호 커버를 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단의 송풍 모터 케이블 커넥터도 분리해 줍니다. 저는 큰 의미는 없으나 상단 모터와 하단 모터의 구분을 위해 따로 주기도 해두었습니다. (2번 나사는 나중에 모듈 전체 분해 후에 진행해도 상관없습니다.)

 

이제 모듈을 분리해 줄 차례입니다. 두 번째 사진의 동그라미 부분에 보면 PUSH라고 적힌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이 튀어나와서 투명 그릴을 돌려서 열리지 않게 하고 있는데 네 부분을 조금 씩 눌러주고 화살표 방향으로 그릴을 돌려주면 빠지게 됩니다. 손이 두개 밖에 안되는지라 네부분을 한꺼번에 누를 수는 없으니, 하나씩 살짝 걸치도록 해서 차근차근 하나씩 해주면 돌려서 뺄 수 있게 됩니다. 

송풍 모터 모듈 분해

송풍 모터 모듈을 빼내고 나면 에어컨 내부 증발기를 볼 수 있는데 증발기에는 별다른 곰팡이등 오염이 없지만 송풍 모듈 외부 아래쪽엔 엄청난 곰팡이와 먼지가 섞여 오염이 되어있습니다. 식초냄새의 주범이 아닌가 싶습니다. 상부 송풍 모듈보다는 하부 송풍 모듈의 오염이 더 심각합니다. 하부 송풍 모듈이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송풍 모듈 내측 오염

 

분리된 송풍 모듈을 모터, 팬, 그릴로 분해합니다. 분해방법은 두 번째 사진에서 볼 수 있는 팬고정용 볼트만 풀어주면 한 번에 다 분리됩니다. 좀 전에 모터고정용 나사(2번 나사)를 지금 풀어줘도 됩니다. 그릴과 팬에도 먼지와 곰팡이가 많이 붙어 있습니다.

 

이렇게 분해를 하면 송풍 모터 모듈은 모두 분해가 완료되었습니다.

 

송풍 모터, 팬, 그릴 분해

 

전면 커버 송풍 도어 그릴 분해

 

 

전면 송풍도어의 투명 그릴만 분해하면 분해 작업은 끝납니다. 전면 커버 우측 상단의 검은 케이블 선을 고정하고 있는 케이블 타이를 잘라 줍니다. 그리고 송풍 도어 그릴에 나사 5개를 모두 풀어 준 후 도어 모듈을 우측 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면 그릴이 빠집니다. 상부 그릴도 동일하게 해 주면 분해할 수 있습니다.

전면 커버 송풍 도어 그릴 분해

 

에어컨 후면 필터 분해

 

후면 필터는 평소에도 자주 씻어 주실 겁니다. 후면 필터도 빠뜨리지 않고 분리해줍니다.

 

후면 필터

 

청소, 세척 및 재조립

 

 

먼저 송풍 모터 내측을 깨끗하게 닦아 줍니다. 저는 물티슈에 곰팡이 제거 스프레이를 조금 뿌려서 같이 닦아 줬습니다. 좌측이 청소 전 우측이 청소 후입니다.

 

송풍 모터 모듈 내측

세척은 필터와 송풍 모듈 그릴, 팬, 전면 도어 그릴 그리고 후면 필터를 세척해 주면 됩니다. 중성세제에 담갔다가 부드럽지만 약간의 탄성이 있는 솔로 세척을 해줍니다. 그리고 곰팡이 제거 스프레이도 뿌려줬습니다. 모두 세척 후에는 곰팡이 방지 스프레이도 뿌려 줬습니다. 효과는 있을진 모르겠습니다. ^^ 아래 사진 중 위에 두 개는 세척 전이고 마지막 사진은 세척 후입니다. 확연한 차이를 보여줍니다. 세척 후 그늘에서 물기를 모두 말려 줬습니다.

 

 

세척 후 물기를 정말히 말린 후 재조립을 합니다. 재조립은 분해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여기까지 진행해 보셨다면 재조립은 분해보다 더 쉽습니다. 빠르게 조립이 완료 됩니다. 완전 세척 후 에어컨 바람은 완전 청량하게 나올 것만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전면 금속 그릴 부분도 세척을 해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지만 거기까진 분해해 보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한 부분만으로도 식초 냄새는 사라질 것 같습니다. 이제 1년에 최소 한 번씩은 분해 세척을 해줘야 할 것 같습니다. 

 

 

세척, 건조 및 재조립

 

오늘은 무풍에어컨 스탠드형 셀프 분해 및 세척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잠시의 시간과 노력 투자로 가족에게 올여름 깨끗하고 시원한 바람을 선사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벽걸이형 청소 및 세척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삼성 무풍에어컨 벽걸이 셀프 청소 후기

·곧 5월이 다가오는데 낮이면 조금씩 따뜻해지는 날씨가 간간이 찾아오고 있습니다. 연말에 집을 이사한 후 에어컨을 아직 설치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작년 여름에 삼성 무풍에어컨의 시큼한

rachol.tistory.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